2026 최저임금 월급 계산 (+연도별 최저임금)

2026년 최저임금은 우리의 삶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이 글에서는 최저임금 결정 과정과 2026년 예상 월급, 그리고 연도별 최저임금 변화를 상세히 다룹니다.

최저임금, 어떻게 결정될까? 🤔

최저임금은 매년 최저임금위원회에서 결정됩니다. 이 위원회는 근로자, 사용자, 공익 대표로 구성되어 있으며, 경제 상황, 고용 수준, 물가 상승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저임금을 심의하고 의결합니다. 노사 간의 첨예한 의견 대립 속에서 적정 수준을 찾아가는 과정은 항상 많은 관심을 받습니다. 거의 12시간만에 드디어 확정됐습니다.

2026년 최저임금, 얼마나 오를까? 💸

2026년 최저임금은 가정에 따라 10,32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이는 2025년 10,030원에서 약 2.89% 인상된 금액입니다.

2026년 최저임금 월급 예상 (시급 10,320원 기준) 💰

2026년 최저임금 시급 10,320원을 기준으로 월급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주 40시간 근무 기준:
    • 일급: 10,320원 × 8시간 = 82,560원
    • 주급: 82,560원 × 5일 = 412,800원
    • 월급: (주 40시간 + 유급 주휴 8시간) × 4.34주 × 시급
      • = (40 + 8) × 4.34 × 10,320원
      • = 48 × 4.34 × 10,320원
      • = 약 2,153,376원 (세전)

세후 예상 금액: 세후 금액은 개인의 4대 보험 가입 여부, 부양가족 수, 비과세 소득 여부 등에 따라 달라지므로 정확한 계산은 어렵습니다. 다만, 일반적인 직장인의 경우 4대 보험과 소득세, 지방소득세를 포함하여 세전 금액의 약 8~10% 정도가 공제될 수 있습니다.

  • 2,153,376원 (세전) – (2,153,376원 × 약 9% 공제율) ≈ 약 1,959,572원 (세후 예상)

참고: 위 세후 예상 금액은 일반적인 공제율을 적용한 추정치이며, 실제 수령액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정확한 세후 금액은 고용노동부 최저임금 모의 계산기나 급여 명세서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연도별 최저임금 변화 추이 📈

연도최저임금 시급월급 (209시간 기준, 고시 기준, 세전)월급 (세후 예상, 약 9% 공제율)인상률 (%)
202610,320원2,153,376원1,959,572원2.89
202510,030원2,096,270원1,907,000원1.7
20249,860원2,060,740원1,875,000원2.5
20239,620원2,010,580원1,829,600원5.0
20229,160원1,914,440원1,742,200원5.05
20218,720원1,822,480원1,657,000원1.5
20208,590원1,795,310원1,633,700원2.87
20198,350원1,745,150원1,588,100원10.9
20187,530원1,573,770원1,432,100원16.4
20176,470원1,352,230원1,230,000원7.3
20166,030원1,260,270원1,146,800원8.1
20155,580원1,166,220원1,061,300원7.1
고용노동부 최저임금 계산기

댓글 남기기